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lambda
- cloudwatch
- Validation
- aws
- 분산시스템
- IaC
- sns
- rds
- serverless
- PACELC
- fcm
- kubernetes
- CHECK
- amazonqcli
- Lamda
- 병목
- CAP
- SageMaker
- terraform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4/09 (1)
잡다한 IT 지식

TL;DR1. URL로 올 수 있는 문자는 ASCII 코드만 가능하다. 2. Retrofit, Ktor, Python Request 등 HTTP 라이브러리 대부분은 요청을 보낼 때 자동으로 퍼센티지 인코딩을 진행한다. 3. 따라서, 인코딩 키를 사용하면 두 번 인코딩 된 키가 서버로 전달된다. 4. 서버는 한 번만 디코딩하므로 키 불일치 발생Encode Key Vs DECODE Key공공데이터를 사용할 때, 인코딩키와 디코딩키를 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왜 키가 두개인지 이해가 안갔지만 이는 URI엔 아스키 코드만 사용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들은 분명 아스키 코드에 속하지 않은 문자들이 URL에 사용되는 상황들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URL들은 어떻게 사용하는 걸까요? ..
겪은 문제들
2024. 9. 7. 1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