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fcm
- CHECK
- kubernetes
- terraform
- CAP
- 병목
- SageMaker
- amazonqcli
- PACELC
- 분산시스템
- serverless
- IaC
- aws
- lambda
- sns
- cloudwatch
- Validation
- rds
- Lamda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51)
잡다한 IT 지식

TL;DR1. URL로 올 수 있는 문자는 ASCII 코드만 가능하다. 2. Retrofit, Ktor, Python Request 등 HTTP 라이브러리 대부분은 요청을 보낼 때 자동으로 퍼센티지 인코딩을 진행한다. 3. 따라서, 인코딩 키를 사용하면 두 번 인코딩 된 키가 서버로 전달된다. 4. 서버는 한 번만 디코딩하므로 키 불일치 발생Encode Key Vs DECODE Key공공데이터를 사용할 때, 인코딩키와 디코딩키를 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왜 키가 두개인지 이해가 안갔지만 이는 URI엔 아스키 코드만 사용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들은 분명 아스키 코드에 속하지 않은 문자들이 URL에 사용되는 상황들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URL들은 어떻게 사용하는 걸까요? ..

How Docker Containers Work – Explained for Beginners 이 글은 위에 링크에 내용을 개인적으로 정리 + 내가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 내용입니다. 오역이 있을 수도 있으니 조심하세요. How Docker Containers Work – Explained for Beginners A container is a lightweight, standalone, and executable software package that includes everything needed to run a piece of software. And one of the most popular tools for working with containers is Docker. Docker is both ..
https://www.acmicpc.net/problem/7576 7576번: 토마토 첫 줄에는 상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두 정수 M,N이 주어진다. M은 상자의 가로 칸의 수, N은 상자의 세로 칸의 수를 나타낸다. 단, 2 ≤ M,N ≤ 1,000 이다. 둘째 줄부터는 하나의 상자에 저장된 토마토 www.acmicpc.net 1의 개수 : 익은 토마토 0의 개수 : 익지 않은 토마토 -1의 개수 : 토마토가 없는 곳 익은 토마토를 모두 큐에 넣고, 4방향으로 주변을 탐색(BFS)하면 된다. 주변 탐색 조건 : 1. 맵을 벗어나지 않는다.(row in range(m), col in range(n) 2. 익지 않은 토마토가 있다.(map[row][col] == 0) 최대한 탐색해서 만든 익힌 토마토의 개수..
제한사항 N, M (3 ≤ N, M ≤ 10) 문제 정리 구슬을 사방향 직선으로 움직일 수 있을 때, 빨간 구슬만 나오는 최소 움직임은? 접근 방법 일단, 최단 거리로 풀어야 하므로 BFS가 필요하다. BFS 사용하면 맵을 최신화 하는 방법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맵을 최신화하지 않고 구슬을 움직여야 한다. 이 때, 문제점이 발생한다. 맵을 최신화하지 않는다면 구슬의 이동을 계산할 수 없어진다. 따라서, 이동하는 방향을 정항 때, 한 구슬은 뒤로 이동하면 된다. 이동하는 방향에 빨간 구슬이 있으면, 두 구슬을 이동한 후에 파란 구슬은 뒤로 한 칸 이동한다. 반대로 이동하는 방향에 파란 구슬이 있으면, 두 구슬을 이동한 후에 빨간 구슬은 뒤로 한 칸 이동한다. 코드 import java.io.Buffere..
제한사항 첫째 줄에 동굴의 크기 R과 C가 주어진다. (1 ≤ R,C ≤ 100) 다음 R개 줄에는 C개의 문자가 주어지며, '.'는 빈 칸, 'x'는 미네랄을 나타낸다. 다음 줄에는 막대를 던진 횟수 N이 주어진다. (1 ≤ N ≤ 100) 마지막 줄에는 막대를 던진 높이가 주어지며, 공백으로 구분되어져 있다. 모든 높이는 1과 R사이이며, 높이 1은 행렬의 가장 바닥, R은 가장 위를 의미한다. 첫 번째 막대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던졌으며, 두 번째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와 같은 식으로 번갈아가며 던진다. 느낀 점 아이디어 생각하는데 은근 시간을 뺏겼고, 구현하는 데에도 시간을 많이 뺏겼다. 요즘 느끼는 건데, 알고리즘에 큰 틀만 짜고 바로 코드 작성에 들어가면 이번처럼 코드가 꼬이거나 망가진다...
제한사항 4 ≤ N ≤ 12 4 ≤ K ≤ 10 문제 정리 체스판의 크기는 N * N 체스판의 칸의 색깔은 흰색, 빨간색, 파란색 중 하나 말은 1~K번까지 있다. 말 위에 말을 올릴 수 있다. 이동 방향은 위, 아래, 왼쪽, 오른쪽 4방향 턴마다 모든 말이 번호 순서대로 이동한다. 한 말이 이동할 때 위에 말도 동시에 이동하며, 가장 아래에 있는 말만 이동할 수 있다. 말이 4개 이상 쌓이면 게임 종료 접근 방법 구현 문제인데 생각보다 굉장히 까다로웠습니다. map을 이용해서 key값을 말의 번호, value를 tower로 했습니다. 복잡도 시간복잡도 : O(1000*k) → O(k) → 1000은 문제에서 주어진 제한 횟수이다.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