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loudwatch
- serverless
- Validation
- sns
- fcm
- lambda
- Lamda
- IaC
- kubernetes
- CHECK
- aws
- terraform
- amazonqcli
- SageMaker
- rds
- 병목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50)
잡다한 IT 지식
코루틴은 항상 코루틴 스코프(Coroutine Scope) 내에서 돌아가야 합니다. 이번 예제에서는 Global Scope에서 코루틴을 실행할 것입니다. Global Scope 내에서 실행된 코루틴의 라이프사이클은 프로그램의 라이프사이클과 함께 합니다.(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코루틴이 종료됩니다.) import kotlinx.coroutines.GlobalScope import kotlinx.coroutines.delay import kotlinx.coroutines.launch fun main() { // 코루틴은 항상 코루틴 스코프(Coroutine Scope) 내에서 돌아가야 한다. // Global Scope에서 실행된 코루틴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동안 계속 살아 있다. val startTime = S..
코루틴이란 무엇인가? 코루틴을 흔히 코틀린 고유의 구성요소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 코루틴은 서브루틴을 일시정지하고 재개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말합니다. 서브루틴은 간단하게 코틀린과 자바에 메서드나 함수로 이해하면 됩니다. 또한, 코틀린뿐만 아니라 파이썬, 자바스크립트 등 다양한 언어에서 코루틴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코루틴의 사용처 안드로이드의 경우 메인스레드에서 UI를 관리합니다. 그런데, 만약 메인 스레드에서 네트워크 요청이나 데이터베이스 검색 등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을 실행하면 어떻게 될까요? 메인스레드는 다른 작업을 처리하지 못하고 사실상 멈춰있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동시성 프로그래밍이고 이를 위해 사용 되는 것이 코루틴입니다. 코루틴과 스레드의 ..

동시성(Concurrency) vs 병행성(Parallel) 동시성은 실제로 프로그램이 동시에 작동하지 않고 빠른 속도로 번갈아가면서 실행됩니다. 반면에 병행성은 실제로 두개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됩니다. 병행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무조건적으로 사용자의 하드웨어가 멀티코어여야 합니다.

본 알고리즘 풀이는 Routine Study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https://github.com/ROUTINE-STUDY/Algorithm 저를 포함한 구성원이 대부분 초보이므로, 원하시는분은 언제라도 들어오셔도 좋습니다. GitHub - ROUTINE-STUDY/Algorithm: 초보 알고리즘 스터디 / 누구나 참여 가능 초보 알고리즘 스터디 / 누구나 참여 가능 :runner:. Contribute to ROUTINE-STUDY/Algorithm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문의는 댓글 바람. 문제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2693 [문제 설명] 자연수로 이어진 배열이 주어졌을 때..

안드로이드는 특정 작업을 하는데 권한을 요청합니다. 권한은 크게 두 종류로 런타임 권한(Runtime Permission)과 설치 권한(Install-time Permission)으로 분류됩니다. 설치 권한(Install-time Permission) - 설치 권한은 설치와 동시에 권한이 부여됩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따로 권한을 승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 설치 권한을 허용하면 앱이 안드로이드의 샌드박스(안드로이드의 보안 메카니즘으로 권한 부여 없이 다른 앱과 소통하지 못하게 한다.)를 벗어나 데이터를 다룰 수 있습니다.(단, 민감한 데이터는 다루지 못합니다.) - 런타임 권한에 비해 안전한 데이터를 다룹니다.(인터넷 접속하기) 런타임 권한(Runtime Permission) - 사용자가 앱을 사용하는..
본 알고리즘 풀이는 Routine Study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https://github.com/ROUTINE-STUDY/Algorithm 저를 포함한 구성원이 대부분 초보이므로, 원하시는분은 언제라도 들어오셔도 좋습니다. GitHub - ROUTINE-STUDY/Algorithm: 초보 알고리즘 스터디 / 누구나 참여 가능 초보 알고리즘 스터디 / 누구나 참여 가능 :runner:. Contribute to ROUTINE-STUDY/Algorithm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문의는 댓글 바람. 문제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058 [문제 설명] 가장 유명한 사람(2-친구가 가장 ..